당뇨합병증!! 당뇨병성말초신경병증 증상 및 예방법 알아보기
당뇨병성말초신경병증 증상 및 예방법 알아보기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은 당뇨병으로 인해 주로 팔다리에 발생하는 신경 장애를 의미합니다.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은 크게 감각신경병증, 운동신경병증, 자율신경병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당뇨환자의 약 15%는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의 증상과 징후를 보이며, 약 50%는 신경전도검사상 말초신경손상이 발견됩니다. 가장 흔한 감각신경 이상은 주로 저리거나 시린 느낌으로 나타나고 사람에 따라서는 화끈거리거나 따가운 느낌으로 나타나는데요. 당뇨병성말초신경병증의 자세한 증상 및 예방법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당뇨병성말초신경병증 증상 및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당뇨병성말초신경병증은 고혈당, 고지혈증, 고혈압, 비만, 흡연 등으로 인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감각신경병증, 운동신경병증, 자율신경병증으로 나눠지며 감각신경병증의 경우 팔다리에 느껴지는 통증, 감각이상, 따끔거림, 찌르는 듯한 느낌, 화끈거림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증상이 지속될 경우 걸음걸이가 불안정해지거나 균형 감각 등 기능상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통증은 밤이 되면 더 악화되는 특징이 있으며 혈당 조절을 통해 시간이 지나면 호전될 수 있습니다. 다만 감각이 소실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운동신경병증의 경우 다리 근력이 약화되거나 눈을 움직이는 근육이 마비되어 물체가 이중으로 보이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자율신경병증의 경우 위 마비 증상으로 소화불량, 구역, 구토, 복통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기립성 저혈압, 발기부전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경학적 진찰 등으로 임상적 진단을 내릴 수 있으나, 보다 자세한 검사를 위하여 신경전도검사, 근전도검사 및 자율신경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성말초신경병증은 혈당 조절을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호전되는 경우가 많지만 때로는 호전되기까지 수개월 이상이 소요되기도 합니다. 통증이 심할 경우 항우울제, 항경련제 등의 약물 치료를 통하여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전문의와 상의하여 몸 상태에 맞는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당뇨병성말초신경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당뇨병 예방: 당뇨병 예방을 통해 말초신경병증의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 체중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 혈당 관리: 당뇨병이 있는 경우, 혈당 조절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혈당이 높아지면 말초신경에 손상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감각의 소실로 당뇨발(당뇨로 인해 발 쪽에 궤양이나 창상 등의 합병증이 발생)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 건강한 생활 습관: 담배와 아코올 섭취를 피해야 합니다. 또한,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을 찾아 스트레스를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 안전한 환경 조성: 부상으로 인한 말초신경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환경조성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신발 착용, 장갑과 양말 등으로 손가락과 발가락을 보호해 주고 외출 후에는 따듯한 물로 깨끗이 씻고 잘 말려주어야 합니다.
이러한 예방법이 당뇨병성말초신경병증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만약 발생할 경우, 의사와 함께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워 신속하고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니다.